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늘 내일 추천주 2017.1.5~1.6 + 트럼프를 만나는 사람들 그리고...

수많은 유료 증권 사이트 및 증권 리딩한다는 카톡방으로 부터 엄청난 정보가 난무하고 있습니다. 

각종 유/무료 증권 방송, 증권 유료 상담 전화, 증권 카톡방, 증권 관련 기사 등의 자료를 시스템에 입력하고

이를 SWM logic에 의해서 분석한 후 매일 해당 정보를 무료 공유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오늘의 추천주는 전일을 기준으로 하여 금일과 익일에 수익 실현이 가능한 종목을 중심으로 정보제공합니다. 

 . 

구체적인 추천 사유는 구구절절 자세하게 기재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주식을 통한 수익 및 손해는 전적으로 자신이 결정에 따른 것입니다.

적어도 자신이 거래하고 싶은 주식이 있다면 그것에 대해서는 본인 스스로 좀 더 알아보고 거래하세요.

 

 


 

중요한 것들...

1. 1월 20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취임식이 진행된다.

 

2. 거기에 우리나라 기업인 3명이 초청받았다고 한다. 

    놀랍게도  삼성도 LG도 현대도 아닌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우오현 SM그룹 회장, 강호갑 신영 회장

    3명이다.  

    한화 그룹 김승연 회장도 외지만 더 놀라운건 최근 급 부상하고 있는 우오현 SM그룹 회장과 강호갑 신영 회장의

    참석이다..  

    취임식에 참석한다고 해서 당장 어떻게 회사의 사세가 되는건 아니겠지만... 전세계에서 여기에 참석해서

    사진 한번 찍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을까?  그걸 생각해보면....

    

    참석하게 된 연줄은  더 신기하다.

     

    - 한화 김승연 회장  : 헤리티지재단은 양국 민간외교에 기여한 김 회장의 공로를 인정해 2011

     워싱턴 펜실베이니아가에 있는 헤리티지 의회빌딩 2층 콘퍼런스센터를 '김승연 콘퍼런스센터'로 명명한 바 있다

 

  

 

 

 

 

    - SM그룹 회장 우오현 : 한미동맹친선협회가 초청을 주선 했으며, 전 주한 미국 대사 인  캐슬린 스티븐슨 이 한국에

      부임한 2008년 이후 활발한 교류를 한것으로 알려졌다.

       SM그룹 관련 자세한 내용 보기 http://arcadia0630.tistory.com/55

   

 

    - 신영 강호갑 회장 : 강 회장은 한미동맹친선협회가 초청을 주선했다. 강 회장은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을 맡고 있다.

 

 

  

 

 

3. 이렇게 3명의 이름이 전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면 이들과 연관된 기업들도 마구 검색되게 되고

   그렇게 시장의 관심을 받다 보면 실질적으로 매출에 도움이 될 수 도 있다

   특히 해운이나 제조업을 하는 이들의 기업의 특성상 정말 이번일을 계기로 많은 변화가 생길지도 모른다..

 

   - 관련 되서 눈여겨 볼 주식들은...

 

  한화 그룹 관련주 :

 - 한화테크윈 : 방산 이슈 및 수익성제고

 - 한화케미컬 : 수출 양호

 

 SM그룹 관련

- 티케이케미

- 남선알미늄

- 대한해운

 

 

 

 

 

미래에셋대우006800

- 8210~8250

- 외인 기관 매수세 증가 기대

- 거래량 증가 추이

- 7조원 초대행 투자은행에 대한 기대심리.

 

SK이노베이션096770 

- 150000-153000

- 기관 외인 순매수 추세

- 석유 화확 기대치 증가

- 원유 관련 업종에 대한 수익성 개선 증대

 

 

CJ E&M130960 

- 74600~74900

- 겨울방학 게임 관련주 관심 증가

- 리니지 및 기존 게임 수익 기대

- 캐이블 콘텐츠 활용도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


개장 전에 알아야 하는 돈과 관련된 소식들

 

 

* 뉴욕증시, 14(현지시간) 뉴욕주식시장은 FOMC 의사록 공개 속 상승 마감... 다우 19,942.16(+0.30%), 나스닥 5,477.01(+0.88%), S&P500 2,270.75(+0.57%), 필라델피아반도체 909.77(+0.27%

*
국제유가, 14(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美원유재고 감소 전망에 상승...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2월 인도분 가격은 전일보다 0.93달러(+1.78%) 상승한 53.26달러

*
유럽증시, 영국(
+0.17%), 독일(+0.00%), 프랑스(+0.00%)

* CES 2017...
생각하는 車, 라스베이거스 도심 질주... 일반인 탄 현대차 아이오닉 번화가 밤거리 자율주행... '달리는 생활공간' 현실로 

* 4
차 산업혁명은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생활 가까이에 와있는데... 한국, 헛다리 짚다 쇼크死 당할 판

*
노후 인프라 '시한폭탄'... 2030년 시한부 시설 37%, SOC 예산은 年 6%씩 줄어

*. 금성테크 거래 재개
*. 디알텍 보호예수 해제


*
서울 사대문안에 첫 10억대(전용 84m²) 아파트... 내달 입주한는 '경희궁 자이'

*
폭증하던 주택담보대출 확 꺾여... 한달새 3.1조서 1800억으로

*
공연 마니아의 조건... 돈보다 여가시간, 신용카드 빅데이터 분석... 여대생·주부가 공연 많이 봐, 전문직 앞질러

*
노후 인프라 대란... 美·日선 SOC 재투자 활활, 넋놓은 한국 '강 건너 불구경'... 1970~1990년대 지은 도심 SOC 대거 노후화... 유지·보수 적기 놓치면 비용 4~10배 들어, 인프라 예산정책축 '건설 → 관리' 전환 시급

* "
노후인프라 관리 새로운 성장동력"... 선진국, 안전+경기부양 '두 토끼 잡기'

* CES 2017...
삼성 "화질 경쟁 끝낸다", 미래 TV 정점 QLED 선보여... 세계 최초 컬러볼륨 100% 구현한 혁신 제품, 3D TV 처럼 입체감... 말로 명령하는 리모컨

*
위아래 골라쓰는 세탁기·무세균 가습기·벽걸이 무풍 에어컨... 삼성·LG, 차세대 기술로 소비자 삶 바꾼다

*
테슬라 대항마 'FF91'·크라이슬러 '포털'... 전자쇼 달군 전기車


* "
김정은 제거 위해 특수여단 올해 창설"... 외교안부부처 업무보고, "대북압박 기조 유지"... 윤병세 "美 신임 국무장관과 이른 시일내 회담"



*
트럼프 보란듯... 中항구서 北석탄 실은 선박 포착, VOA보도

*
보수신당, 법인세 인상 반대... 선거연령 하향 가닥, 원희룡 입당... 오늘 발기인 대회

*
개헌론 본격 점화... "대선 前 개헌" 67% 압도적, "혼합형 의원내각제 도입" 50%... 국회 개헌특위 오늘 1차 회의,


*
포드 美에 주저앉힌 트럼프... GM에도 "잠깐", 멕시코 공장 지으려던 포드 16억 달러 투자계획 결국 취소... "美 남든지 세금 더 내든지" 트위터로 GM향해 으름장

* '
외로운 늑대들'온상 된 중앙 아시아... 키르기스 등 5개국, 테러세력 인력창구로... 장기불황에 청년들 취업대신 '일탈' 선택

*
레노버·샤오미... 印 스마트폰시장도 中이 접수

*
트럼프이 反中무역 트리오... 나바로 '정책구상', 로스 '보복관세', 라이시저 'FTA 재협상'

*
국정혼란 틈타 금융노조 성과연봉제 무력화... 카드업계 올해 도입 무산될듯

*
최근 5년내 前·現 임원 중 우리은행 새 행장 선출한다

*
톱을 향한 열망, 1월의 신차 셋... 기아 3세대 모닝, BMW 5시리즈, 쌍용 5세대 코란도C

* "
황창규 회장 연임 6일까지 밝혀라" KT, CEO 추천위 구성

* LF,
외식 이어 주류사업 진출... 주류 유통업체 인덜지 인수, 하반기 맥주공장도 설립

*
전문 자산운용사 CEO 5인의 새해 투자 전략... "사드의 저주... 화장품·음식료株 털어내야"... 강방천은 역발상 "오히려 中소비주 노릴때"... 철강·화학株 유망


*
펀드도 대체투자시대... 특별자산펀드에 석달새 4천억, 年평균 수익률 8% 넘어 '쏠쏠'

*
이랜드, 계열사 IPO로 위기 넘을까... 그룹 공격적 中투자로 재무구조 급속 악화... 이랜드리테일 상장으로 2조원 조달 나섰지만 실제론 1조 밑돌수도

*
상장사 느슨한 내부감사 손본다.

.. 금감원, 부실감사 첫 점검... 상장사 40%만 감사위 설치

* "
층수규제 풀어 성냥갑 벗어나야" 연구 용역결과 한달째 서랍속에... '35'에 묶여 디자인 외면하는 서울시


*
서울대 정시 3년만에 41 넘어

*
최순실 뇌물죄 적용 방침... 새 구속영장 청구 검토... 특검, 정유라 국내송환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