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요특징주, 시황, 증권사추천종목

2018년 2월 26일 기관 외국인 동반매수 외국인 , 기관 쌍끌이 매수 종목

2018년 2월 26일 기관 외국인 동반매수 외국인 , 기관 쌍끌이 매수 종목

 

 

SW logic중에 포함되어 있는 외국인과 기관의 흐름 정보입니다 

정보는 정보일 뿐.. 투자의 결과를 좌우 하는 건 당사자의 능력입니다


일반적으로 외국인과 기관이 같이 매수를 하는 경우 그 추세는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추세는 좀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쌍끌이 종목 (지수) 이라고 하지요... 


반대의 경우에는 역시 좋지 않구요... 그래서 만들어 봤습니다.


오늘같이 폭락하는 주식시장에서도 외인과 기관이 매집을 하는 종목이 있습니다.

물론 이중에는 눈속임이나.. 개미털기라고 이야기 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그것을 파악하는 것이 바로 투자자의 능력이겠지요...



2018년 2월 26일 기준 코스피 시장에서  외인 기관 순매수 한 종목입니다


외국인 순매수 종목 기관 순매수 종목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LG화학 19,781 50 1.29% SK이노베이션 52,755 255 4.76%
삼성바이오로직스 14,146 31 2.00% 삼성전자 37,380 16 0.34%
동국제강 12,662 1,172 -0.46% 셀트리온 34,535 106 2.67%
셀트리온 11,174 34 2.67% SK하이닉스 27,461 352 0.26%
KODEX 200 10,094 315 0.17% S-Oil 21,726 176 3.78%
넷마블게임즈 9,309 59 0.63% 현대차 21,528 133 1.26%
휠라코리아 8,481 85 5.60% 한국전력 19,855 587 0.30%
삼성전자우 7,454 4 0.30% POSCO 19,815 53 1.93%
현대글로비스 7,320 51 5.11% 현대로보틱스 16,863 39 3.82%
우리은행 7,046 414 0.89% 한독 16,453 470 -2.14%
TIGER 200 6,492 202 0.14% 신한지주 16,376 344 -2.06%
OCI 6,048 37 3.43% 현대모비스 12,284 53 1.54%
LG이노텍 5,108 39 1.55% 아모레퍼시픽 10,647 36 1.88%
호텔신라 4,749 56 1.45% 삼성바이오로직스 9,938 22 2.00%
롯데케미칼 4,568 10 1.52%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 9,567 1,677 -0.26%
SK하이닉스 4,116 52 0.26% 고려아연 9,004 17 -0.39%
LG 3,239 38 0.70% 금호석유 8,996 96 4.74%
코오롱인더 3,201 43 0.13% LG이노텍 8,336 63 1.55%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3,088 132 0.70% OCI 7,462 45 3.43%
CJ CGV 2,909 41 -2.59% GS 7,416 111 3.87%
삼진제약 2,768 64 1.30% 현대중공업 7,179 55 0.38%
대한항공 2,695 79 -3.56% 하나금융지주 7,172 141 -1.74%
대원제약 2,614 113 10.28% 기업은행 6,570 386 1.49%
두산인프라코어 2,428 250 0.51% CJ제일제당 5,955 17 -0.57%
한온시스템 2,398 189 1.18% 휠라코리아 5,793 58 5.60%
한국항공우주 2,280 44 -0.97% 한화테크윈 5,726 194 4.60%
대한유화 2,260 7 -0.91% SK 5,607 19 -0.51%
현대제철 2,013 38 1.32% 한화케미칼 5,584 164 0.00%
만도 1,986 8 0.80% 팬오션 4,941 797 0.33%
LG생활건강 1,801 2 0.00% 현대미포조선 4,901 44 1.87%

 

 

2018년 2월 26일 코스피 시장 외국인 기관 쌍끌이 동반매수 매수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종목 등락
셀트리온 2.67%
SK하이닉스 0.26%
삼성바이오로직스 2.00%
LG이노텍 1.55%
OCI 3.43%
휠라코리아 5.60%

 

 셀트리온 : 셀트리온의 램시마 피하주사제형 개발이 순항하고 있다는 소식이 호재

 

 셀트리온 3총사 모두 선방 중

 

  꾸준한 제약 바이오에 대한 외인 매수세...  금리가 오르던 내리던.. 수익성 및 실적 기대 지속

 

신라젠 : 173억7100만원(17만4200주)어치의 주식을 매수

셀트리온헬스케어 : 163억5000만원(12만7300주)

CMG제약은 50억800만원(67만3200주)을 순매수

 

삼성바이오로직스 : 3일 연속 외인 기관 쌍끌이, 신고가 기록...

 

 

OCI : 폴리실리콘값 가격 상승 지속 VS 치킨게임

 

 

-  세계 태양광발전 시장이 100GW를 넘어설 전망이고, 국내에서도 태양광발전을 위주로 재생에너지를 확대할 예정

 

- OCI는 2017년 7월 도쿠야마의 말레이시아 공장을 인수해 생산력을 연 5만2000톤에서 6만6000톤까지 증가

   2018년 3분기에는 추가로 3000톤을 늘릴 계획이며, 최근 열린 투자자미팅(IR)에서는 2만톤 추가 증설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과 미국 업체들은 각각 4~5만톤 신규 증설 및 2만톤 규모 공장 재가동을 예고, 공급과잉이 예상되고 있다.

 

 저번주 1kg 당 폴리실리콘 가격은 전주 대비 0.67% 하락한 16.21달러였으며, 2주 전에도 1.63% 하락한 바 있다.

이는 지난달 기록한 18.83달러에 비하면 7% 가까이 하락한 것으로, 1달러 가량만 떨어져도 손익분기점인

 

14~15달러에 다다르게 된다.

 

- 지난 2011년 태양광 붐이 일자 생산설비를 대폭 늘렸다가 가격 하락 및 거품 붕괴로 고객사들이 줄도산, 사전 계약이 해지되면서 실적에 치명타를 입었던 것을 근거로 이번에도 치킨게임 끝에 업계 전반적으로 찬바람을 맞을 것을 우려

 

>> 롯데정밀화학·SKC·현대중공업 등 국내 태양광 기업들은 구조조정을 지속, 수익성 악화를 대비하고 있다

 

 

- 롯데정밀화학은 2017년 12월 폴리실리콘 제조·판매업체인 SMP가 파산선고를 받아 관계법령에 따라 파산절차를 진행 중.

- 2011년 삼성정밀화학(현 롯데정밀화학)이 미국 선에디슨과 1대 1 비율로 투자해 설립한 합작사인 SMP는 설립

  

이래    매년 적자를 냈으며, 2014년에는 보유 지분 25%를 선에디슨에 매각했다.

이후 선에디슨이 2016년 파산보호를 신청, 매수채권 회수 불능에 빠지면서 회생절차 및 매각 등을 추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롯데정밀화학이 2016년 SMP로 인해 입은 손실은 1160억 규모로 알려졌다.

 

- SKC는 2011년 설립한 미국 조지아 공장이 고객사 파산으로 주문이 끊기고 2016년 129억원의 순손실을 입자 지난해 가동을

 

  중단했으며, 지난해 말 공장을 정리


- SKC의 자회사인 SKC솔믹스 역시 2016년 말 웅진에너지에 태양광 사업부문 자산을 매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 현대중공업도 지난해 12월 비주력 사업 매각 및 정리의 일환으로 지난 2010년 독일 아반시스와 합작해 세운 현대아반시스

 

   지분 50%를 140여억원에 아반시스에 넘겼다.

    충북 청주시 오창면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자본금 2000억원으로 시작했지만 매출을 전혀 내지 못하는 등 현대중공업에

  

    손실만 입힌 것으로 평가된다.

이밖에도 △GS그룹의 에너지 업체인 GS E&R △SK실트론 △삼성SDI 등의 업체들도 공장 매각·태양전지 생산 중단을 비롯한 구조조정을 단행하거나 사업에서 철수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태양광 패널 세이프가드 조치로 향후 수출 차질에 난항을 겪을 수도 있다"며 "2~3년 동안 자금력이 부족한 업체 및 후발 업체들이 시장에서 퇴출되는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말그대로 되는 집은 되고 안되는 집은 안되는 상황임. 되는 집은 시장을 다 먹고 안되는 집은 그냥 굶어 죽는 잔인한 시장...

버틴다고 되는게 아니고 거래선을 잡아야 함.

 

휠라코리아 : 실적 발표 전인 22일 8만8700원에서 이틀 새 10% 이상 상승

 

역시 실적!! 

 

2017년 4분기 연결 기준으로 519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장 예상치 353억을 크게 웃도는 깜짝 실적이다. 연간 영업이익은 2179억원으로 전년보다 1741% 늘었다. 아울러 주식 액면가를 주당 5000원에서 1000원으로 분할하기로 결정

 

adsect

 

 

2018년 2월 26일 기준 코스닥 시장에서  외인 기관 순매수 한 종목입니다

 

외국인 순매수 종목 기관 순매수 종목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신라젠 17,371 174 0.30% 컴투스 10,868 67 2.50%
셀트리온헬스케어 16,350 127 1.83% 셀트리온헬스케어 8,707 68 1.83%
CMG제약 5,008 673 5.59% 바이로메드 7,590 34 0.72%
텍셀네트컴 4,484 147 2.73% 휴젤 3,256 6 1.21%
파라다이스 4,276 223 -4.48% 선데이토즈 2,830 73 1.74%
녹십자랩셀 3,812 58 11.84% 에이치엘비 2,509 58 0.23%
크리스탈 3,361 124 5.02% 메디톡스 2,461 4 -0.08%
바텍 2,430 60 5.92% 비에이치 2,380 123 0.52%
SKC코오롱PI 2,098 53 -0.51% 셀트리온제약 2,276 25 0.44%
더블유게임즈 2,058 33 3.67% 카페24 2,266 24 -1.98%
휴온스 1,943 20 3.69% 오스템임플란트 2,260 43 1.36%
뉴파워프라즈마 1,909 62 8.43% 제이콘텐트리 2,183 295 1.38%
바이로메드 1,733 8 0.72% 포스코켐텍 2,151 45 -1.87%
에이티넘인베스트 1,718 310 -5.13% 더블유게임즈 2,058 33 3.67%
차바이오텍 1,698 47 2.50% 레고켐바이오 2,004 29 2.96%
오스코텍 1,666 93 7.06% 코미팜 1,986 49 -0.49%
캔서롭 1,518 25 11.96% 인트론바이오 1,947 46 7.44%
세명전기 1,223 142 -29.91% 엔지켐생명과학 1,659 19 -2.65%
미래컴퍼니 1,217 14 4.98% 메디포스트 1,643 15 4.49%
대한광통신 1,197 170 0.57% 지트리비앤티 1,630 39 -0.24%
스튜디오드래곤 1,144 14 -0.50% 바텍 1,597 39 5.92%
코미코 1,039 37 -1.26% 차바이오텍 1,574 45 2.50%
제일홀딩스 1,012 63 1.89% 웹젠 1,480 53 -0.18%
아이센스 983 35 4.67% 신라젠 1,466 15 0.30%
유니셈 977 109 1.25% CJ E&M 1,319 15 0.46%
에스엠 947 26 0.27% 원익IPS 1,311 35 -0.13%
레고켐바이오 861 12 2.96% 인크로스 1,304 50 2.76%
HB테크놀러지 847 226 -0.92% SK머티리얼즈 1,239 7 -0.23%
코미팜 805 20 -0.49% 서울반도체 1,202 53 -1.97%
에스티아이 799 30 -2.60% 고영 1,196 13 -0.32%

 


2018년 2월 26일 코스닥 시장 외국인 기관 쌍끌이 동반매수 매수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종목 등락
셀트리온헬스케어 1.83%
바이로메드 0.72%
더블유게임즈 3.67%
레고켐바이오 2.96%
코미팜 2.96%
바텍 5.92%
차바이오텍 2.50%
신라젠 0.30%

 

더블유게임즈 : 2017년도 연간 매출액이 3193억원으로 2016년(1637억원)보다 105.2%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813억원으로 81.2% 늘었다.

더블유게임즈의 2017년 4분기 매출액은 사상 최고치인 110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161.3%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293억원으로 80.0% 늘었다

더블유카지노’가 2017년도 3분기보다 결제액이 12.5% 늘었고 ‘테이크5’ 결제액도 13.2% 증가했다. 특히 주력 부문인 모바일에서 두 게임의 2017년 4분기 결제액이 3분기보다 12.5% 증가했고 ‘페이스북’에서의 웹 결제액도 12.6% 늘면서 전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보였다.

더블유게임즈는 2017년 6월 인수한 자회사 ‘더블다운인터렉티브’의 대표 게임 ‘더블다운카지노’의 신버전을 올해 4월초 출시할 예정이다. 더블유게임즈는 본격적인 마케팅이 시작되면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원용준 더블유게임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당사의 대표 라인업인 ‘더블유카지노’와 ‘테이크5’가 지난 4분기 서비스 경쟁력과 실적 측면에서 모두 한 단계 올라섰다”라며 “이제 모든 초점은 ‘더블다운카지노’ 성장에 맞춰져 있으며 경쟁력 있는 지적재산권(IP)과 모회사의 성장 노하우를 종합해 만족할만한 성과를 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