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요특징주, 시황, 증권사추천종목

2018년 2월 20일 기관 외국인 동반매수 외국인 , 기관 쌍끌이 매수 종목

2018년 2월 20일 기관 외국인 동반매수 외국인 , 기관 쌍끌이 매수 종목


SW logic중에 포함되어 있는 외국인과 기관의 흐름 정보입니다 

정보는 정보일 뿐.. 투자의 결과를 좌우 하는 건 당사자의 능력입니다


일반적으로 외국인과 기관이 같이 매수를 하는 경우 그 추세는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추세는 좀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쌍끌이 종목 (지수) 이라고 하지요... 


반대의 경우에는 역시 좋지 않구요... 그래서 만들어 봤습니다.


오늘같이 폭락하는 주식시장에서도 외인과 기관이 매집을 하는 종목이 있습니다.

물론 이중에는 눈속임이나.. 개미털기라고 이야기 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그것을 파악하는 것이 바로 투자자의 능력이겠지요...



2018년 2월 20일 기준 코스피 시장에서  외인 기관 순매수 한 종목입니다


외국인 순매수 종목 기관 순매수 종목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삼성전자우 45,395 22 -0.83% 고려아연 9,064 17 1.76%
SK하이닉스 37,200 492 -1.31% 한미약품 8,595 17 0.61%
LG전자 19,533 188 1.46% 현대건설 8,190 197 -0.36%
롯데케미칼 10,665 24 0.78% LG전자 7,887 76 1.46%
LG디스플레이 8,510 279 0.33% KODEX 인버스 5,966 964 1.39%
KB금융 6,684 101 -0.15% 한화케미칼 5,108 152 -0.30%
한국전력 6,438 191 2.11% 녹십자 4,150 19 -0.47%
POSCO 4,839 13 0.28% 한국가스공사 3,652 77 0.32%
삼성물산 4,280 33 -0.76% 팬오션 3,353 561 0.00%
동성제약 4,190 204 19.66% SK텔레콤 3,273 13 0.62%
KODEX 레버리지 4,125 251 -2.57% 삼성엔지니어링 2,913 176 0.00%
고려아연 4,120 8 1.76% 한국항공우주 2,896 59 -0.41%
이마트 4,026 14 -1.34% 한전KPS 2,295 57 2.82%
현대차 3,830 25 -0.97% BNK금융지주 2,168 203 0.00%
신풍제약 3,433 368 6.70% 대웅제약 2,122 12 2.54%
한올바이오파마 3,189 90 7.07% 맥쿼리인프라 2,121 251 0.12%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 3,064 530 2.09% 두산중공업 2,076 135 2.68%
SK이노베이션 3,054 16 -1.02% SK케미칼 2,016 18 0.00%
덴티움 3,004 41 0.83% LG이노텍 1,991 16 0.40%
LG 2,884 34 -2.89% SKC 1,871 49 -0.26%
삼성에스디에스 2,617 11 -2.29% 코스맥스 1,712 13 -1.16%
우리은행 2,417 144 -0.89% 현대차2우B 1,668 17 0.31%
삼성SDI 2,349 13 -1.64% 한국전력 1,641 48 2.11%
한미약품 2,325 5 0.61% 진에어 1,635 51 -0.31%
기업은행 2,292 137 -0.60% S-Oil 1,621 14 -0.42%
KODEX 200 2,289 72 -1.16% 대우건설 1,598 309 -0.58%
CJ CGV 2,288 31 0.14% 씨에스윈드 1,580 40 1.29%
신한지주 2,143 45 0.21% 현대중공업 1,548 12 -3.73%
SK텔레콤 2,040 8 0.62% 무림P&P 1,485 257 1.75%
LG생활건강 1,763 2 -0.09% 녹십자홀딩스 1,448 35 -0.12%



2018년 2월 20일 코스피 시장 외국인 기관 쌍끌이 동반매수 매수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종목 등락
고려아연 1.76%
한미약품 0.61%
LG전자 1.46%
SK텔레콤 0.62%
한국전력 2.11%


고려아연  


- 꾸준한 실적 기대에 대한 기관의 매수세... 

- 다만 환율에 대한 변수가.... 



- 2017년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그룹이 운영하는 시장 조사기관 BMI리서치는 7일 ‘BMI 아연 보고서’를 통해

  아연의 재고가 줄어드는 속도가 아연의 생산량 증가 속도보다 빠르다며 이같이 주장했으면 2018년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음. 

- 2018년 아연 판매량 가이던스 전년대비 5만톤(yoy +9%) 증가한 65만톤 제시.

- 2차원료 사용 비중 확대를 통해 정광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것으로 판단.
- 2016~2017년 이어진 전해공정 및 조액공정 합리화 등은 2018년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한미약품 : 올뺴미 공시로 인한 급락 이후.. 소폭 반등... 


- 아직 악재가 다 반영되었다고 보기 어려움

- 무엇보다 시장의 신뢰를 회복해야 하는데.. 실적만이 답이 될듯...

- 2018년 실적 기대되기는 하나...  조심해야 할 듯... 

 



adsect




2018년 2월 20일 기준 코스닥 시장에서  외인 기관 순매수 한 종목입니다


외국인 순매수 종목 기관 순매수 종목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제넥신 5,377 59 1.59% 이녹스첨단소재 7,247 99 4.11%
카페24 4,100 48 12.29% 제넥신 5,372 58 1.59%
에프티이앤이 3,101 469 7.73% 펄어비스 4,984 20 -4.75%
녹십자셀 2,354 43 3.60% 카페24 4,238 52 12.29%
이녹스첨단소재 1,858 25 4.11% 덕산네오룩스 2,498 116 0.00%
크린앤사이언스 1,679 92 9.30% 선데이토즈 2,062 63 2.37%
에이텍티앤 1,570 111 10.61% 펩트론 1,914 29 0.91%
나스미디어 1,390 17 1.80% 와이지-원 1,695 89 8.12%
경남제약 1,272 74 2.72% 비에이치 1,542 77 -2.00%
인터플렉스 1,204 37 1.73% 게임빌 1,517 22 -0.30%
APS홀딩스 1,182 138 5.60% KG이니시스 1,249 61 -0.25%
유니테스트 1,163 83 -0.36% 컴투스 1,236 8 -2.15%
파트론 1,129 106 0.94% AP시스템 1,103 34 -1.23%
콜마비앤에이치 1,067 30 0.00% 테스나 1,039 58 2.57%
아바코 1,049 117 3.10% 파트론 1,032 95 0.94%
에스맥 1,033 698 7.97% SK바이오랜드 957 42 -1.09%
파크시스템스 1,027 25 3.45% 로엔 782 7 -2.30%
테크윙 1,002 51 3.47% SKC코오롱PI 772 18 0.12%
씨젠 929 25 -0.81% 한양이엔지 753 47 -2.20%
정다운 918 194 6.24% 테크윙 708 36 3.47%
메디톡스 888 1 -2.34% 와이아이케이 657 110 4.90%
이에스브이 754 683 -1.32% 슈프리마 650 23 -0.18%
세명전기 707 66 1.41% 큐리언트 646 21 1.35%
참좋은여행 632 48 0.39% 유니셈 609 71 0.63%
백금T&A 611 119 7.40% 와이엠티 569 16 0.00%
마이크로프랜드 584 65 6.25% 다산네트웍스 535 78 5.83%
대성창투 567 174 1.85% 우리산업 506 14 0.00%
스튜디오드래곤 555 7 -2.38% 뉴로스 488 62 -3.62%
유진기업 531 95 -4.61% 성도이엔지 423 46 1.44%
HB테크놀러지 514 138 -0.68% APS홀딩스 422 49 5.60%



2018년 2월 20일 코스닥 시장 외국인 기관 쌍끌이 동반매수 매수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종목 등락
이녹스첨단소재 4.11%
제넥신 1.59%
카페24 12.29%
파트론 0.94%
테크윙 3.47%
APS홀딩스 5.60%


이녹스첨단소재 :  중소형 OLED 소재 산업에서 메인 벤더로 역할이 확대되며 관련 매출 본격화 가능성대두


 2018년 2분기부터 중소형 OLED 후공정 소재 산업에서 메인 벤더로 역할이 확대되며 관련 매출이 본격화 전망

→ 대형 OLED 소재 실적도 1분기부터 65인치 이상 패널 출하량이 확대되면서 대규모 턴어라운드가 기대


- 고점 대비 저점 치고 상승국면 전환 가능성 대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