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요특징주, 시황, 증권사추천종목

2017년 10월 16일 기관 외국인 동반매수 외국인 , 기관 쌍끌이 매수 종목

SW logic중에 포함되어 있는 외국인과 기관의 흐름 정보입니다 
정보는 정보일 뿐.. 투자의 결과를 좌우 하는 건 당사자의 능력입니다

 




일반적으로 외국인과 기관이 같이 매수를 하는 경우 그 추세는 좋다고

그리고 그 추세는 좀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쌍끌이 종목이라고 하지요...  

 

2017년 10월 16일 기준 코스피 시장에서  외인 기관 순매수 한 종목입니다



외국인 순매수 종목 기관 순매수 종목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POSCO 39,420 116 5.85% POSCO 33,529 98 5.85%
삼성SDI 15,144 74 -5.79% 롯데케미칼 26,375 66 2.03%
카카오 12,575 84 2.30% 아모레퍼시픽 23,151 82 5.17%
LG전자 10,042 111 0.90% 코스맥스 19,777 145 3.79%
고려아연 9,405 17 2.44% 호텔신라 18,620 292 3.08%
일진머티리얼즈 8,263 248 -2.47% 현대로보틱스 13,444 30 4.20%
하나투어 7,948 89 7.04% 한국전력 13,402 339 1.53%
삼성물산 7,618 51 1.02% 한국콜마 12,963 160 3.29%
삼성엔지니어링 7,341 633 0.43% 신세계 12,237 58 6.80%
LG생활건강 7,161 7 2.26% NAVER 11,808 15 0.00%
KB금융 6,112 106 -1.55% 삼성물산 11,216 75 1.02%
기업은행 5,134 354 -0.34% 이마트 10,908 49 2.26%
우리은행 4,808 273 1.14% 현대중공업 10,136 66 0.99%
SK이노베이션 4,595 22 -1.43% CJ CGV 9,729 144 7.72%
KODEX 200 4,230 129 0.09% 현대모비스 9,704 40 -1.03%
한미약품 4,137 9 -1.23% 현대제철 8,465 151 2.39%
삼화콘덴서 3,657 166 0.66% SK텔레콤 6,723 25 1.50%
한샘 3,552 21 11.43% 현대미포조선 6,427 64 4.86%
현대미포조선 3,539 35 4.86% 두산인프라코어 5,876 633 0.54%
LG 3,509 43 -0.12% KT 5,774 189 2.17%
SK 3,447 11 -0.65% 현대차 5,642 36 -0.97%
삼성전기 3,191 34 -3.51% LG디스플레이 5,327 181 1.72%
BGF리테일 2,752 32 1.63% 삼성중공업 5,156 436 0.42%
신세계 2,747 13 6.80% LG생활건강 5,047 5 2.26%
SK네트웍스 2,631 378 -0.43% LG전자 4,485 50 0.90%
코웨이 2,571 26 1.44% 아모레G 4,236 31 3.03%
OCI 2,421 25 -0.81% KT&G 4,018 38 0.47%
CJ제일제당 2,340 6 0.95% 삼성에스디에스 3,907 21 2.79%
유나이티드제약 2,312 100 6.28% 한샘 3,634 22 11.43%
한온시스템 2,265 180 2.05% 현대건설 3,461 88 1.28%



2017년 10월 16일 기준 코스피 시장에서 외인 기관 동반매수, 쌍끌이 한 종목입니다


종목 등락
POSCO 5.85%
신세계 6.80%
삼성물산 1.02%
현대미포조선 4.86%
LG생활건강 2.26%
LG전자 0.90%
한샘 11.43%



POSCO 포스코 

: 철강가격 상승세 + 실적개선 기대감

 “POSCO의 3·4분기 영업이익은 1조1,450조원으로 시장 전망치인 1조1,000억원을 웃돌 것”이라며 “철강 가격 상승으로 평균 판매가격이 상향조정됐고, 해외 철강 자회사 실적 개선된다는 전망. 

>>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철강 업종 구조조정 효과로 연말까지 철강 가격이 꾸준히 오를 가능성이 높다며 철강주가 정보기술(IT) 업종을 잇는 주도주가 될 것이라는 전망



신세계 : 중국 사드 보복 완화 가능성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 + 실적 개선


 신세계 면세점이 서울 명동점을 중심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점유율 10%를 돌파, 롯데·신라에 이어 3위 사업자로 안착했다. 그러나 동시에 '독과점 사업자'로 분류되는 기준선을 넘어서며 신규 사업자 선정 시 불이익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신세계면세점은 올해(1~7) 명동점, 부산점 등 시내면세점 2곳과 인천공항점 등에서 총 949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시장점유율은 같은 기간 전체 국내 면세점(77773억원) 12.2%에 달한다. 같은 기간 롯데는 본점·인천공항점·월드타워점·제주점 등 8개점에서 32893억원의 매출(42.4%), 신라는 본점·인천공항점·제주점 등 3개점에서 18676억원의 매출(24.0%)을 올렸다 


개별 사업장을 기준으로도 신세계의 약진은 눈에 띈다. 신세계 명동점은 올해 7개월의 영업기간 동안 총 6679억원의 매출을 올려 롯데 본점(소공점, 16997억원), 신라 본점(11406억원)에 이어 국내 3위 사업장 자리에 올랐다. 지난해(3489억원, 11)와 비교하면 가파른 상승세다

작년 국내 매출 '5' 매장은 롯데면세점 본점(31606억원), 신라면세점 본점(17385억원), 롯데면세점 인천공항점(11455억원), 신라면세점 인천공항점(6969억원), JDC 제주공항면세점(5305억원)이었다.




LG생활건강 : 실절발표 전년보다 감소 했으나 그래도 여전히 이익 + 중국 사드 보복 완화 가능성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


3Q17F 매출액 yoy-1.3%, 영업이익 yoy-0.8% 전망 

3Q17 LG생활건강의 실적은 매출액 1조5,433억원, 영업이익 2,42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1.3%, -0.8%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부문별 매출로는, 화장품이 yoy -2.6%으로 역신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중국인 인바운드 감소로 면세 채널향 판매가 우려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국 현지에서 럭셔리 브랜드의 성장성이 이어지고 있다.

‘후’는 연말까지 200여개 상위 백화점을 커버할 수 있을 전망이며(현재 중국 내 172개), ‘숨’도 연말까지 50개 매장 오픈을 계획하고 있다(현재 기준 30개). 생활용품 부문은 추석에도 불구하고 선물 품목 선호도 변화 등 수요 감소로 성수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져 매출 성장률은 yoy

-1.8% 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음료 부문은 동사의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경쟁사의 가격 인상 철회 및 성수기 날씨 혼조 등의 요인이 혼합되어 yoy +1.7%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adsect 


2017년 10월 16일 기준 코스닥 시장에서 외인 기관 동반매수, 쌍끌이 한 종목입니다


순매수 종목 순매수 종목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종목명 금액 수량 등락률
셀트리온 29,457 171 3.90% 파라다이스 8,258 475 4.19%
셀트리온헬스케어 10,659 170 1.76% 펄어비스 3,877 34 5.12%
에코프로 5,875 199 -3.08% 웹젠 1,899 76 3.72%
파라다이스 5,553 322 4.19% 에스엠 1,600 53 1.16%
포스코켐텍 4,588 158 -6.95% 컴투스 1,300 10 0.08%
엘앤에프 2,089 64 -4.26% 모두투어 1,142 43 6.45%
신라젠 1,914 40 1.29% 유니테스트 1,012 93 -3.56%
동진쎄미켐 1,788 106 -3.66% 연우 977 35 8.95%
와이엠씨 1,779 77 -9.90% 참좋은여행 854 84 2.94%
유진테크 1,741 89 -0.74% CJ프레시웨이 528 15 4.39%
원익홀딩스 1,667 235 -1.38% 씨티씨바이오 418 48 -6.61%
SKC코오롱PI 1,619 52 -7.69% 필옵틱스 409 13 -1.39%
아모텍 1,359 38 0.95% 선익시스템 386 16 1.25%
휴젤 1,299 3 0.77% 한글과컴퓨터 353 21 0.00%
에스에프에이 1,203 30 1.10% 와이지-원 343 28 -1.66%
원익머트리얼즈 1,154 17 -5.06% 이오테크닉스 342 4 -0.95%
이오테크닉스 1,120 13 -0.95% 지트리비앤티 320 9 -5.29%
모두투어 1,014 38 6.45% 에스에프에이 297 7 1.10%
서울반도체 990 38 -2.76% 진성티이씨 294 29 -0.48%
동원개발 943 168 2.73% 테라세미콘 285 11 -2.09%
피에스케이 938 45 -6.39% GS홈쇼핑 279 1 0.34%
넥슨지티 937 77 -4.30% 인터로조 268 7 0.40%
상아프론테크 863 65 -5.96% 코오롱생명과학 254 2 1.44%
오스템임플란트 860 13 3.41% 인선이엔티 248 39 1.42%
케어젠 784 11 1.23% 아이원스 245 18 -3.60%
휴온스 782 12 -0.77% 게임빌 239 4 -0.16%
실리콘웍스 768 17 -5.43% 대한광통신 236 71 -0.59%
한글과컴퓨터 755 46 0.00% 프로텍 216 13 -3.60%
제넥신 730 17 -2.09% 서린바이오 207 16 0.00%
고영 661 10 -0.73% 테크윙 201 12 -1.54%




2017년 10월 16일 기준 코스닥 시장에서 외인 기관 동반매수, 쌍끌이 한 종목입니다 


종목 등락
파라다이스 4.19%
모두투어 6.45%
한글과컴퓨터 0.00%
이오테크닉스 -0.95%
에스에프에이 1.10%